본문 바로가기
고민 & 물음표

● 당신이 손절당하는 이유

by 메멘토타로 2023. 6. 29.
반응형
SMALL

 

 

 

 

 

사람은 인정욕구"가 기본적으로 강한데요
내 이야기나 내 자랑보다는
상대방에대한 궁금한 부분들

상대방이 필요한 부분들 
상대방의 자랑적인 부분들에 대한
대화를 중심으로 얘기해나가는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상대방이야기 4: 내 이야기 1

내 이야기 중심으로 이야기 할 수록 
사람들이 지루해할 수 있다고
손절 할 수도 있다고해요.

내 자랑 내 이야기를 하고 싶다면
상대방이 필요한 정보와 섞인 성공담이나 
나 승진했다! 내가 쏜다
한 턱 쏘면서 짧고 굵게 말하기 

상대방과 많은 대화가 이어질 수 있는
3가지 정도의 질문 준비하기 

내가 주고 싶은 선물이 아니라
상대방이 원하는 선물하기
상대방이 도움이 필요한 부분만 돕기  
내가 주고도 돌려받길 바라지 않는
정도 선에서
일을 돕고 커피정도의 선물 정도하기

또는
내가 계산적으로 생각하기 보다 
돌려받기 바라는 부분보다
넉넉한 마음 갖기 
선물준거 별거 아닌걸로 넘기기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PZ_lhs2MC8o


자기중심적인 사람이 인간관계하는 법

 

이유 없이 손절 당하는 사람

 

싸우거나 그런 것도 없이 
연락이 끊기는 대인관계적 부분이 있음
이유를 알 수 없어 답답
난 대인관계를 소중히하는데
나는 왜 이럴까 인생숙제임 

남인숙 작가님 영상을 보고
자기 중심적인 사람인걸 알게되었어요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요...?
내가자기중심적인것 같아요 나르시스트 인것 같아요.




자기 중심적이라는건
특별한 악의 없어도
다른사람 입장을 생각 못하는 것
일단 본인이 알고 인정하고 있다는것은
심하지 않은 것


진짜 중심적인 사람은
내가 진짜로 잘났는데
그걸 질투해서 나를 따돌리는 것이다 생각함



공감 능력이 차이가 있음
자기중심성 차이가 있음

계속 손절되는 것은 
자기중심적인 부분이 축적이 되어 그럼
말하기도 뭣한 작은 일에서 딱 마음이 정해지는 것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이
질 높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자기 자랑하고 싶은 마음 참기
자기 중심적인 사람이
이걸 제일 어려워함
자기의 잘난점 자랑하고 싶은 요구는
누구나 있긴함 
사람이 갖고 있는 욕구중 가장 강한게
인정욕구"이다.
나를 부러워해줬음하는 욕구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강력한 욕구이다. 

인정욕구가 채워지면
그 사람하고 사이가 나빠질 일이 없음
연인 부부 사이도
인정욕구가 채워주면 관계가 오래 잘
유지된다.

관계에서 인정욕구를 채우려하면
그게 자동으로
상대방의 인정욕구를 억누르고 무시하는
일이 되는 거에요.
그러니까 다들 자랑하고 싶은 마음을
참고 누르고 사는 거에요.
그래서 자기 자랑을 하고 싶으면
돈내고 하는 것임 
나 승진했다
매출10억 달성했다.
이런 명분으로 한턱내죠.

사람들은 평상시에 그런 인정욕구 마음을 
많이 참는 거에요.
그런데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잘 컨트롤이 안되는 사람들이
이게 어렵다.
조금만 친하면 자꾸 자기 자랑을 하게 됨

자기자랑이 화두에 오려보다
반응이 별로만 빨리 말을 접고
화제를 돌리거든요.
그런데 그게 잘 안되는 분들은
끝없이 자신을 어필하려고 하시더라구요.


자기자랑은 일반적인거라
그 대화는 재미가 없다.

자랑이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그 대화는 재밌다. 

어떤 엄마가 자식자랑을 하면서
대학가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자랑이지만 그 대화는 재밌는 대화가 
되는 것이다.

일상에서는 기본적으로 자랑은 참는다.  
이걸 꼭 염두해두세요. 


인정욕구채울 수 있는 도구나 통로는
따로 만들어라
결과가 보이는 성취를 작은거라도
이루시면서
자동으로 칭찬을 듣는 것 
이것이 인사억이고



사람들 질려하는 대화법중 하나
뭔가 길게 이야기를 해서 듣다보면
알고보면 그게 자랑인거
그게 가장 최악임 
그래서

허락받고 자랑타임 잠깐 갖는것도 괜찮아요
나 자랑하나만 할께
대놓고 짧고 굵게 자랑하기 



기본적으로 자기자랑을 습관적으로
너무 하는 것도
정서적인 결핍의 증거이기도 해요.
인정욕구가 자연스럽게 스며들듯이
충족이 안되니까
자꾸 자랑을 하게 되는 거거든요.


자기중심성과 결핍이 만나면
온통 대화가 자기 자랑이 될 수 밖에 없어요.



2. 상대방에 대한 질문 3개 이상 준비하고 만나보기 

자기중심적인 사람의 문제가 
상대방에대해 나름 판단을 내리고 더 이상
더이상 궁금해하지 않는것

가십에 관심있는거하고 달라요.
아무개가 이혼했데 남편이 바람나서 그렇다는데 사실일까?

사람이 아니라 사건에 관심이 있는거죠.

사람한테 제일 의미 없는 일이란?
서로 궁금한게 없는 사람하고 시간을 보내는 것

상대방은 나한테 궁금한게 없지만 

나는 저 사람이 궁금해
그럼 그건 의미있어요.
내가 궁금한 면이 만나면서 채워지니까 
배우는 것도 있고 재미있죠.
상대방만 나한테 궁금한게 있으면
그것도 의미 있어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자기 얘기를 하고 싶어하는 존재니까
그럴 준비가 돼이쓴 사람을 
만나는 것도 재밌는 일인거에요.
대게 사람들은 
나한테 궁금한게 있는 사람한테만
관심이 생겨요


자기중심적인 사람이 누굴 만난다는건
서로한테 의미없는 시간이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

자기 중심적 성향이 강한 사람이
관계를 표현할 때 
내 얘기를 들어줄 사람이 필요하다. 
상대방을 궁금해하고 
상대방 말을 듣고 싶은 생각은 없는것 

그래서
다른 사람들을 만나기전
그 사람을 만나서 할 괜찮은 질문
3개 이상 미리 생각해두세요. 

몇살이에요 이런 단편적인 질문말고
그 사람이 답을 할 때
많은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 질문
어떻게 또는 왜가 들어있는
질문을 생각해보세요. 
사실 그 과정만으로도
그 사람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을 하게 되니까
만나면 대화거리가 더 늘어나기도 해요.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같이 있으면 좀더 즐거운
그런 사람이 되는것



3. 내가 이만하면 잘해주는 거다
라는 선을 넉넉하게 잡으세요. 

자기중심성이 강한 분들이 
관계 자체에서만 주는 충족감이 적은게 사실이에요. 
이 사람하고 있는게 
그렇게 재미있기가 좀 힘들어요. 
철저하게 자기중심적이면서
함게 있는게 즐거우려면
이 사람이 연기를 해야하는데 
그런 연기만으로 그런 느낌을 주려면
보통 소시오패스가 아니면 힘듬 

 

자기중심적인 사람이관계가 좋으려면
실질적으로 주는 이득이 있어야돼요.
그래야 그걸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 사람이 나를 생각해주는 구나
하는 마음을 느껴요.

 

그 사람이 도움이 필요할 때
행동으로 돕는 일들 있잖아요.
그런 걸 아끼지말고 하는 걸 습관이 되게 노력해보세요.
자기중심적인 분들은
베푸는 것도 자기 중심으로 생각하는 면이 많이 있어요.


친구가 친척한테 공짜 뮤지컬 표를 얻었어요.
그게 한 사람당 10만원짜리에요.
그 친구가 나한테 그 뮤지컬을
같이 보러가자해서 공연을 같이 봄
그리고 
저녁을 먹는데 4만원 정도 나옴
당연하게 더치페이로 하는거에요.
이 과정에서 

자기중심적인 사람은
"나는 내시간 내어서 같이 봐준건데
내가 같이 안봐줬으면
그 공연 못보고 표 날리고
혼자 봤을 거 아냐
내가 크게 쏜거야 "

여기서 이 생각이 맞다고 생각하는 분이 계시면
그걸 생각을 좀 바꾸셔야 되는 것 
그건 그 친구가 갖고 있는
인적 자원의 소산이에요.
그걸 샆아야할 빚이기도 해요.
그런 표를 나를 위해서 쓰기로 했다면
그건 굉장히 고마운 일일거에요.
돈액수 무제가 아니더라도
저녁정도는 사면서 마음을 표하는 거죠.

돈이 없어서 그게 어렵더래도
그런 마음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하죠.
자기 중심적인 분들이
이런 마음이 저절로 안먹어지는게 문제인거거든요.
내가 자기중심적인 사람이다 느끼면
내 느낌보다 훨씬 더 베푼다고 생각해요돼요.

자기중심적인 사람이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최소한 마음 씀씀이가 후한 사람이 되어야하더라구요.

자기중심성이 강한 사람이
이렇게 하는게 공평하지하며
계사적으로 사람을 대하려고 하면

반드시 상대방 입장에서는 기분 상할 만한
일이 생기더라구요.

그냥 내가 이만큼 해준다.
내가 할 수 있는만큼은 다 베풀어준다.
이 정도 생각해야
상대방이 관계에서 진정성을
느끼게 되더라구요.

기부엔 테이크다.
이런 생각을 바꾸세요.
보통사람들이 알고 있는것과 
기준이 너무 다르더라구요.
그렇다고 상대방이 원하지도 않는거 마구 내밀어도 안되요.


-------------------------------

4. 배려도 배우세요

자기중심성은 기본적으로
미성숙한 특성이에요.
아기들이 다른 사람들 생각을 못하잖아요.
자기가 배고프면 그냥 울지
어른들 배려해서안울고 참고 
이러진 않잖아요.

자기중심성은 인간의 가장 원시적인
감정 작용이에요.

성장하면서 전두엽을 발달시키고
점점 보완해나가면서
균형을 갖게 되는 거거든요. 

 

내가 자기중심성이 강하다는건
성장성이 멈춰있다는 거에요. 
그러면 배우면서 성장시켜야죠. 
사람마다 자기중심성을 멋어나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생각해주는 능력이 다 달라요.

그런데 제가 보기에 그 능력이 기본적으로 떨어지는 분들도
사회생활이나 인간관계를 잘 하면서 사시거든요.  

타인을 생각해준다는게 뭔가 남들은 어떻게 하나 
이런거 잘 관찰해서
나한테도 적용하고
내가 이렇게 했더니 다른 사람들이
싫어하더라 
다음부터는 이렇게 해야겠다. 
이런 태도로 평생 고치고 배우면서
산다고 생각하셔야돼요. 
와 너무 힘들다.
꼭 이렇게까지 해야 돼?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생각해보면 우리 이런저런 면에서
다 평생 배우고 성장하면서 사는거에요.
저도 항상 배우고 고친다고 생각하면서 살아요.
근데 그게 그렇게 힘들기만 한 일은 아니더라구요. 
내가 변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짚어보는 것도 엄청 뿌듯한 일이다.

어른이 됐다고 딱 멈추는 것이 아니에요.
계속 성장하면서 삶의 질을 높이시면 좋겠어요. 

반응형
LIST

댓글